본문 바로가기
서예자료실/서론자료

[스크랩] 사체서세 (위항) 1

by 혜당이민지 2010. 2. 19.

 

사체서세(四體書勢)

 

  

위항(衛恒)

 

   昔在黃帝, 倉制造物. 有沮誦, 倉頡者, 始作書契, 以代結繩, 蓋覩鳥跡以興思也. 因而遂滋, 則謂之字, 有六義焉. 一曰指事, 上下是也, 二曰象形, 日月是也, 三曰形聲, 江河是也, 四曰會意, 武信是也, 五曰轉注, 老考是也, 六曰假借, 令長是也. 夫指事者, 在上爲上, 在下爲下. 象形者, 日滿月虧, 效其形也. 形聲者, 以類爲形, 配以聲也. 會意者, 止戈爲武, 人言爲信也. 轉注者, 以老壽考也. 假借者, 數言同字, 其聲雖異, 文意一也.

 

   옛날 황제시대에 법제를 창립하고 사물을 만들었다. 저송과 창힐이 있어 처음 서결을 만들어서 결승을 대신했으니, 대개 새의 발자취를 보고 생각을 일으킨 것이다. 이것으로 인하여 양육한 것을 ‘자(字)’라고 이르는데 여기에는 육의가 있다. 

   첫째, ‘지사’를 말하니 ‘上ㆍ下’가 그러하다. 둘째, ‘상형’을 말하니 ‘日ㆍ月’이 그러하다. 셋째, ‘형성’을 말하니 ‘江ㆍ河’가 그러하다. 넷째, ‘회의’를 말하니 ‘武ㆍ信’이 그러하다. 다섯째, ‘전주’를 말하니 ‘孝ㆍ老’가 그러하다. 여섯째, ‘가차’를 말하니 ‘令ㆍ長’이 그러하다.

   대저 지사라는 것은 위에 있어 ‘上’이 되고, 아래에 있어 ‘下’가 되는 것이다. 상형이라는 것은 해가 차고 달이 이지러지는 그 형태를 본받은 것이다. 형성이라는 것은 유형을 형태로 삼고 소리로 짝한 것이다. 회의라는 것은 그치다[止]와 창[戈]이 ‘武’가 되고, 사람[人]과 말하다[言]가 ‘信’이 되는 것이다. 전주라는 것은 ‘老’로 ‘壽考’의 ‘考’자를 전용하는 것이다. 가차라는 것은 몇 가지 말이나 같은 글자로 그 소리는 비록 다르더라도 문자의 뜻은 같은 것이다.

 

 

 

 

출처 : 한국서학연구소
글쓴이 : 심제 김보경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