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예자료실/서예고사전26

[스크랩] 18. 비홍희해, 무학유천(飛鴻戱海, 舞鶴游天) 18. 비홍희해, 무학유천(飛鴻戱海, 舞鶴游天) 【용어설명】 ‘홍(鴻)’은 큰 기러기로 날기를 잘하고, ‘희(戱)’는 유희하는 것이다. ‘해(海)’는 큰 호수이고, ‘학(鶴)’은 선학으로 춤을 잘 춘다. ‘유(游)’는 헤엄쳐 노니는 것이고, ‘천(天)’은 빈 하늘을 의미한다. 이는 마치 날기를 잘하는 큰 .. 2010. 4. 28.
[스크랩] 17. 단장취묵(短章醉墨) 17. 단장취묵(短章醉墨) 【용어설명】 ‘장(章)’은 서화작품의 크기이고, ‘취묵(醉墨)’은 술에 취해서 제작한 서화작품이다. 따라서 이는 작품이 작거나 뜻을 두지 않고 제작한 서화작품을 가리킨다. 【원문인용】 宋ㆍ歐陽脩「湖洲長史蘇君墓誌銘」: “소순흠의 작품은 비록 단장취묵이나, 그가 .. 2010. 4. 28.
[스크랩] 16. 침착통쾌(沈着痛快) 16. 침착통쾌(沈着痛快) 【용어설명】 ‘침착’은 용필이 웅건하고 두터워서 들뜨지 않음을 가리킨다. ‘통쾌’는 용필이 상쾌하고 날카로우면서 유창함을 가리킨다. ‘침착통쾌’란 두 종류의 대립적인 풍격을 하나로 통일하여 필력이 굳세고 필세가 유창한 글씨를 가리킨다. 이를 또한 ‘沈著痛快.. 2010. 4. 28.
[스크랩] 15. 지송삽진(遲送澀進) 15. 지송삽진(遲送澀進) 【용어설명】 ‘지(遲)’는 더디다는 것이고, ‘삽(澀)’은 매끄럽지 아니하면서 저지하는 힘이 있음을 말한다. 이는 전서ㆍ예서ㆍ해서와 같이 정적인 형태의 필획들을 서사할 때 행필은 더디면서도 힘이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붓과 종이의 마찰로 생겨.. 201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