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법탐원50

[스크랩] 8. 예기비(漢) 8. 禮器碑(漢) <예기비>는 한비(漢碑) 중에서 가장 명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학자들도 이 비를 한비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꼽고 있다. 아울러 저수량의 글씨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예기비>의 전체 명칭은 <한노상한칙조공묘예기비(漢魯相韓勅造孔廟禮器碑)>이며, 또한 <한칙비(韓勅碑.. 2010. 2. 19.
[스크랩] 7. 을영비(漢) 7. 乙瑛碑(漢) <을영비(乙瑛碑)>의 전체 명칭은 <한노상을영치백석졸사비(漢魯相乙瑛置百石卒史碑)>, 또한 <한노상청치백석졸사비(漢魯相請置百石卒史碑)>이다. 한나라 환제 영흥원년(永興元年, 153)에 새겼으며, 내용은 한나라 노상(魯相)인 을영(乙瑛)이 치백석졸사를 공묘에 청하여 제사.. 2010. 2. 19.
[스크랩] 6. 석문송(漢) 6. 石門頌(漢) 동한말기는 서예사에서 또 한 차례 중흥기를 이루었던 시기이다. 이는 한편으로 전문적인 서예가와 서예 이론가들이 나타났고, 다른 한편으로는 팔분한예(八分漢隸)의 ‘명석지서(銘石之書)’가 완전히 성숙함과 동시에 각종 풍격이 많이 나타났다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이 시기에 .. 2010. 2. 19.
[스크랩] 5. 거연한간(漢) 5. 居延漢簡(漢) 서예는 탄생한 날로부터 줄곧 실제적 사작(寫作), 초사(抄寫), 계각(契刻) 등과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서체의 형식은 끊임없이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은 일종의 약정속성(約定俗成)에 의해 확립됐다. 도판에 나타난 5개의 간독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잘 설.. 2010.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