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법탐원50 여초 김응현 (如初金膺顯) 1927~ 2007.2.1 여초 김응현 (如初金膺顯) 1927~ 2007.2.1 서울 출생. 호는 여초(如初).완여(頑如).완도인(頑道人).경안재(景顔齋).무외헌(無外軒). 벽산려(碧山廬). 1951년 고려대학교 졸업. 1974년 중국 국립고궁박물원 초청 방화단장, 1975년 국전 초대작가. 1976년 현대화랑 초대 서예개인전, 1986년 중앙일보사 초대 여초 김응.. 2008. 5. 8. 문영오교수님 제1강 文字香 書卷氣 ❝文字香 書卷氣❞-(秋史 金正喜·1786~1856) 그는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의 인구에 회자되는, 유명한 서예관(書藝觀)을 피력한 바 있다. “가슴속에 청고고아(淸高古雅)한 뜻이 있어야 하며, 그것이 문자의 향기(文字香)와 서권의 기(書卷氣)에 무르녹아 손끝에 피어나야 한다.” 명필은 .. 2008. 5. 7. 백련초해(百聯抄解) (4)25-32山靑山白雲來去.. 백련초해(百聯抄解) (4장)25-32 25. 山靑山白雲來去 人樂人愁酒有無 산 청 산 백 운 래 거 인 락 인 수 주 유 무 산이 푸르렀다 희었다 구름은 왔다갔다 사람이 즐거움과 사람의 근심은 술에 있을수도 없을수도 .. 26. 山外有山山不盡 路中多路路無窮 산 외 유 산 산 부 진 로 중 다 로 로 무 궁 산 밖에 산이 .. 2008. 4. 25. 백련초해(百聯抄解) (1장) 1-8 花笑檻前聲未聽... 백련초해(百聯抄解) (1) **9번부터는 친구공개합니다. 1. 花笑檻前聲未聽 鳥啼林下淚難看 화 소 함 전 성 미 청 조 제 림 하 루 난 간 * 꽃이 난간 (앞:생략해도됨 )에서 웃어도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가 숲 (아래)에서 울어도 눈물을 보기가 어렵네. 2. 花含春意無分別 物感人情有淺深 화 함 .. 2008. 4. 1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