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번역원/고전의 향기

010 사진(寫眞)의 의미

by 혜당이민지 2008. 5. 19.

고전의 향기010         (2008. 5. 19. 월)

사진(寫眞)의 의미


생명이 있는 존재는 반드시 죽음이 있게 마련이고, 죽으면 형체와 마음도 모두 사라진다. 이것이 유학(儒學)하는 사람들이 해온 말이자 떳떳한 이치이다. 이와 달리 불교를 믿는 자는 ‘형체는 사라져도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하고, 선도(仙道)를 믿는 자는 ‘형체와 마음이 모두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두 가지 견해는 떳떳한 이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괴이한 것을 좋아하는 세상 사람들은 그 말을 더러 믿기도 한다. 한편, 초상화를 그리는 사람은 ‘마음은 사라져도 형체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그가 하는 말이 더욱 신기하다.

거기에 대하여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가 자기가 지닌 기예를 최대한 발휘한다면, 대상 인물의 귀와 눈은 마치 실제로 듣고 보는 것처럼 그리고, 입은 말하는 것처럼 그리며, 머리털과 수염은 움직이는 것처럼 그린다. 그래서 일백 세대가 지난 뒤에라도 그 사람을 직접 본 듯 느끼게 한다. 그들이 추구하는 도(道)가 조물주의 오묘한 솜씨를 빼앗았기 때문에 선도나 불교와 더불어 같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음이 사라졌는데도 형체가 사라지지 않았다면, 그 사람에게는 과연 무슨 이익이 있겠으며, 후세에는 무슨 보탬이 되겠는가? 또 지금 여기에 어떤 사람이 있어 유학을 종주로 삼고서 선도와 불교까지 아우르는 도를 추구한다고 치자. 이렇게 하는 사람을 그래 도를 추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는 아마도 이렇게 말할 것이다.

“유학을 추구하는 사람은 형체와 마음이 모두 사라진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떳떳한 이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형체와 마음이 사라지고 만다면,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어떻게 요(堯) 임금과 순(舜) 임금은 성인이고 걸(桀)임금과 도척은 미치광이임을 알게 할 수 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말을 기록하고 행동한 일을 적어놓는 학문이 생기게 된 것이다. 말과 행동한 일이 전해진다면 그 마음이 전해질 것이며, 형체가 간혹 여기에 붙어서 전해질 것이다. 《서경(書經)》에 나오는 이전삼모(二典三謨)_1)처럼 성인을 묘사한 글이 이른바 ‘형체는 사라져도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아니겠으며, 《논어(論語)》 가운데 들어있는 〈향당(鄕黨)〉편_2)이 이른바 ‘형체와 마음이 모두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아니겠는가? 이런 것이 이른바 ‘유학을 종주로 삼고서 선도와 불교까지 아우르는 도를 추구한다.’고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지만 군자가 소중하게 여기는 것은 마음이지 형체가 아니다. 그 마음이 이미 후세에 전해졌다면, 그 형체가 후세에 전해져도 좋고, 전해지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그 마음이 후세에 전해질 만한 가치가 없다면, 그 형체만이 홀로 전해질 리는 전혀 없다. 따라서 초상화를 그리는 자가 가는 길은 오로지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만이 독점할 뿐 군자는 그 길을 가지 않는 것이다.

호남 사람 박선행(朴善行)은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로 서울에서 이름이 높다. 나를 위해 초상화를 그려주겠다고 하길래 나는 웃으며 사양하고 이렇게 말했다.

“내 형체가 후세에 전해질 만한 가치가 있다면 그대가 아니라도 반드시 내 형체를 묘사할 자가 나타나리라. 내가 그대에게 맡길 필요가 굳이 있겠는가?”

돌아가려고 하는 그에게 이 글을 지어서 선물한다.

- 남유용(南有容), 〈증사진자박선행서(贈寫眞者朴善行序)〉,《뇌연집(뇌淵集)》


1) 《서경(書經)》 가운데 요·순 임금과 우 임금 등이 행한 일을 기록한 〈요전(堯典)〉, 〈순전(舜典)〉과 〈대우모(大禹謨)〉, 〈고요모(고陶謨)〉 등을 함께 가리킨다.

2) 〈향당(鄕黨)〉편에는 공자의 정신적 측면과 구체적인 일상생활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공자의 마음을 엿볼 수 있고, 그의 형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 남유용 초상 _ 일본 덴리대학 소장
관리가 일할 때 가볍게 입는 복장인 시복(時服)차림의 초상화로, 영조 말의 복식형태가 잘 나타나 있다.

해설


이 글은 정조의 사부이자 당대의 저명한 문인인 남유용(1698~1773)이 박선행이란 초상화가에게 써준 글이다. 자신의 초상화를 그려주겠다는 호의를 정중하게 거절하고서 거절한 이유를 설명하여 그에게 주었다.

이 글에서 언급한 사진(寫眞)은 옛날의 진영(眞影) 곧 초상화를 가리킨다. 카메라로 인물의 생생한 모습을 기록하는 현대의 사진과 글자가 같다. 지난날의 사진과 현대의 사진은 이름이 같은 만큼 유사한 점이 있다. 자신의 얼굴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여 대상화하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점에서 그렇다.

남유용은 일백 세대 뒤의 사람이라도 그 사람을 직접 본 듯 느끼게 만드는 초상화의 위력과, 초상화가의 능력을 먼저 치켜세웠다. 인물의 형상을 후세에 남기는 능력 때문에 불교나 선도와도 견줄 수 있는 도를 지닌 기예라고 평가했다. 초상화의 가치를 이렇게까지 인정한 것은 의외다.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한 핵심은 삶과 죽음에 따른 마음과 형체의 변화이다. 살아있을 때에는 마음과 형체가 모두 존재하지만 죽음과 함께 마음과 형체는 사라진다. 유불선(儒佛仙)의 차이에 따라 죽음 뒤의 인간을 보는 견해가 다르다. 유가는 죽음과 더불어 인간의 마음도 형체도 사라진다고 보았다. 그것이 떳떳한 이치라는 것이다.

초상화를 그리는 사람은 그런 생각을 한편으로 인정하면서도, 인류의 귀감이 되는 훌륭한 사람은 그 마음과 형체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이에 따라 마음을 보존하는 글과 형체를 보존하는 초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후세에 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마음의 소유자는 초상화를 그려 그의 형체를 후세에 남겨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초상화가의 주장에 대해 남유용은 후세에 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마음을 소유한 존재라면 형체는 자연스럽게 전해질 것이므로 본인이 초상화를 그리려 애쓸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초상화 그리기를 거부하였다.

이 글은 초상화를 그리는 문제를 놓고 철학적 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남유용은 유교를 신봉하는 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사진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이 글을 쓰던 시대는 아무나 초상화를 그릴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다. 위대한 성취를 거둔 사람만이 자신의 얼굴 모습을 그림으로 남길 수 있었던 시대였다. 그런 이유로 해서 초상화에 매우 무거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초상화는 이 시대에 와서 사진으로 대체되었다. 더구나 과학기술의 발달로 누구나 자유자재로 자신의 인물사진을 남길 수 있게 되었다. 지금 사람들의 눈에는 남유용의 논리가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그의 생각이 다소 지나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자신의 용모를 남기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에 대해서 한번쯤은 생각해 보게 하는 글이다.

 

   필자 : 안대회
  -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고전번역원 > 고전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2 천하의 한쪽 끝에서  (0) 2008.06.19
011 이상한 관상쟁이  (0) 2008.05.27
009 임술년의 추억  (0) 2008.05.19
008 홍도정 우물물을 마시며  (0) 2008.05.19
006 밥상 위의 꽃  (0) 200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