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마지막 선비: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선생
강암선생 ‘묵죽도’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 1913~1999)선생의 묵죽도(墨竹圖)를 보면 다음과 같은 ‘금강경 야보송(金剛經 冶父頌)’중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 대 그림자 뜰을 쓸어도
먼지하나 일지 않고
달이 물밑을 비추어도
물위엔 흔적조차 없네. ”
대숲에 이는 청량한 바람에 모든 것을 잊어버리게 되면서 시원한 마음의 모습이 저절로 드러나는 것 같다. 마치 대숲에 바람일 듯 시원함과 청량함이 가득 담겨져 있다.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선생은 20세기 호남을 대표하는 선비이자 서예가이다. 단순히 보이는 겉모습뿐만이 아니라 속까지도 모두 선비라는 말이 누구보다도 잘 어울리는 대쪽같은 선비였다. 마지막까지 한복을 곱게 입고 단정한 자세, 또렷한 정신으로 찍힌 사진들을 보면, 강암선생의 풍모를 다시 확인할 수가 있다.
강암선생 ‘묵죽도’
강암선생 ‘왕유시(행도수궁처 좌간운기시)’
강암선생은 전북 김제에서 구한말 호남의 유명한 유학자인 유재(裕齋) 송기면(宋基冕)선생(1882~1956)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호는 아석제인, 강암(剛菴)이라 했다.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으나, 부친이 서예가보다 학자가 되라는 권유로 공모전에 출품을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부친께서 돌아가신 후에 처음으로 45세의 늦은 나이에 국전에 출품하여 연속해서 입선, 특선, 문공부장관상 등을 수상하였다. 국전에서 연속으로 서예, 사군자로 상을 받은 후 추천작가와 초대작가를 거쳐 심사 밎 운영위원도 역임하였으며, 각종공모전에서 20여회이상 심사를 하였고, 국내작가로는 처음으로 중국역사박물관에서 초대전을 가지기도 하였다.
또한 서예를 통한 교육사업을 위하여 연묵회를 창설하여 후진들을 가르쳤으며, 93년에는 재단법인 ‘강암서예학술재단’을 창설하여 소장작품과 재산을 전주시에 기부하고, 전주시에서는 ‘강암서예관(剛菴書藝館)’을 건립하여 개관하였다. 95년에는 서울에서 ‘강암(剛菴)은 역사다.’ 는 동아일보회고전을 개최하여 세상을 놀라게 하기도 하였다.
50세 이전까지는 주로 글씨를 즐겨 썼으나, 60세 이후부터는 글씨와 함께 사군자를 많이 그렸다. 사군자중에서도 대나무를 즐겨 그렸으며, 서예가이면서 대나무를 가장 잘 그리는 선비화가로 한국서단에 우뚝 서게 된다. 강암선생의 작품은 구도와 화제, 그리고, 농담과 기운 등이 잘 조화되어 특히 대나무에 관한 한 현대 한국의 문인화(文人畵)를 대표하고 있다. 옹골찬 산 계곡의 서늘한 바람처럼 강암선생의 묵죽도(墨竹圖)를 보고 있으면, 마치 대숲에 있는 듯한 청량한 기운이 저절로 스며들게 된다.
강암선생 ‘묵죽도’
강암선생의 묵죽도는 특히 대나무 그림과 글씨가 참 잘 어울린다. 옹골찬 대와 강암선생의 올곧은 글씨가 다르지 않고, 특히 대나무의 겉모습뿐만이 아니라, 대잎과 대속안의 텅빈 통영스러움이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강암선생의 묵죽도를 바라보면 대숲에 이는 청한(淸閑)한 기운이 전해지는 것 같아 마음이 시원해진다. 글씨와 그림이 잘 어울리고, 대잎으로 쓴 것 같은 꼿꼿함이 잘 드러나 보인다.
오랜만에 눈을 들어 벽에 걸린 강암선생의 묵죽도를 바라보니 대나무를 통해 피어나는 청한한 기운은 강암선생이 가신지 어언 이십여년이 되어가도 우리 주위에 가득 남아 있음을 알게 된다.
몇년전 가을 전주에 들러 강암선생의 서예관과 화랑에서 여러 진품들과 도록을 살펴 본 적이 있다. 특히 강암선생이 돌아가신 뒤 1년 후에 개최된 특별전도록을 통해본 강암선생의 세계는 정녕 이 시대 선비의 모습이 어떠하고, 어떻게 살아갔던가 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가 있어서 좋았다. 그것이 또한 곧 우리들의 살아가는 모습이어야 하기에 더욱 가슴 깊이 와 닿게 된다. 그중에서도 화제로 쓴 글들이 더욱 마음에 와 닿았다.
그 글씨중에 “기쁜 마음에는 시, 글씨, 그림이 있고, 지녀온 성품은 솔, 대나무, 매화와 같네.(怡情有詩書畵 秉性如松竹梅)”는 내용이 있다. 그처럼 강암선생은 시서화(詩書畵)를 즐기며, 선비처럼 살다 가셨다. 그리고, “글씨와 그림은 정신과 기개가 담겨 있어야 고귀하다.(用筆用墨 貴在神來氣束)”는 말처럼 강직한 성품을 바탕으로 절조가 서린 글씨와 그림을 남기고 가셨다.
특히 그중에서도 대나무그림은 강암선생의 진면목을 드러내는 진품들이다. “대나무는 말할 줄 모르지만, 시원하게 온갖 시름 녹여준다(此君不解語 曠然銷百憂)”는 말처럼 강암선생에게 대나무는 누구보다도 변치 않는 군자였고, 평생을 같이한 친구였던 것 같다. 그리하여 대나무와 하나가 된 입장에서 대나무의 겉모습뿐만이 아니라, 대나무의 본질적인 절개와 청한함, 그리고, 그런 절조가 있는 그림으로 그려낼 수가 있었던 것 같다. 묵죽도의 화제중의 하나가 “대나무를 그린다는 것은 마치 문장으로는 맹자의 호연장(浩然章)이요, 글씨로는 구양수의 솔경체(率更醴)와 예천명(醴泉銘)과 같다. 순전히 기골(氣骨)을 위주로 삼는 것이지, 그 비슷하게 모방해서는 안된다. 겉모습을 모방할 수는 있지만, 그 이야기를 어떻게 쉽게 할 수 있겠는가?(畵之於竹 如文之有鄒經浩然章 如書之有歐陽率更醴泉銘字 純以氣骨爲主 非模擬形似者 形可彷彿 誰然談何容易)”
한 잔의 차를 마시며 눈앞에 펼쳐지는 강암선생의 묵죽도(墨竹圖)를 보면서, 사계절 늘 푸른 대나무처럼 곧은 절개가 우리 주위에 가득하기를 바라게 된다.
강암선생 ‘묵죽도’
'서법탐원 > 서예인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산 송하경님 작품 (0) | 2010.03.11 |
---|---|
석전 황욱(1898~1993년)/(스크랩) (0) | 2010.03.11 |
문영오교수님 제1강 文字香 書卷氣 (0) | 2008.05.07 |
[스크랩] 추사의 세한도 (0) | 2008.04.12 |
“去年以晩學大雲二書寄來 .. (0) | 200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