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집에 작은 흙 화로 둘이 있는데, 돌아가신 조부와 부친께서 사용하시던 것으로 우리 형제에게 전해진 것이다. 우리 형제가 지극한 보물처럼 아껴서 두꺼운 누런 종이로 해마다 한 번씩 덧입혀 화로 두께가 몇 치에 이르렀고 붙인 종이가 흙보다 많아졌다. 덧입혔기 때문에 늘 새 것 같았고 두껍게 되었기 때문에 오래갈 수 있었다. 어떤 이가 말하였다.
“흙 화로가 귀한 것이 아닌데 삼대에 걸쳐 전해졌소. 그대들 형제가 또 이처럼 아끼니 너무 인색한 것이 아니겠소?”
내가 탄식하였다.
“아, 당신은 이 화로가 얼마나 사랑스러운지 몰라서 그러는 것이오. 이는 우리 어르신의 덕이 깃든 것이라오. 예전 우리 조부께서 숨어사시면서 도를 즐겨 인왕산(仁王山) 아래 집을 짓고서, 집에 들어가면 도서와 사적, 시와 예학을 즐기시고 집을 나서면 소나무와 대나무, 꽃나무 아래에서 노니셨소. 맑은 얼굴에 하얗게 센 머리로 매일 집과 동산 사이에서 지팡이를 끌고 다니셨소. 그러면 선친께서 반드시 이 두 화로를 가지고 뒤를 따르셨는데, 한번도 꺼지게 한 적이 없었지요. 노비 이강(二江)이란 놈이 그 뜻을 받들어 늘 숯을 사서 떨어지지 않게 하여 술이나 국을 따뜻하게 데웠고 차를 끓이거나 밤을 굽기도 하였지요. 선친께서는 꼭 손수 밤을 꺼내 입으로 재를 불어 털고 직접 조부님께 올렸다오. 조부님께서 늘 화로 앞에서 즐거워하셨소. 병구완을 할 때도 이 두 화로를 버리지 않았다오. 날씨가 차고 눈이 많이 내리면 밤에 화롯가에 앉아서 약을 달였는데, 혹 가다 날을 새기도 하였다오.
모든 우리 집에 있는 소반이나 사발, 광주리, 술병, 술통 등 맛난 음식을 담는 그릇, 그리고 자루와 돗자리, 저울, 거적, 빗자루, 신발, 세숫대야, 주전자, 옷걸이 등 아침저녁 필요한 살림살이, 거문고 자루, 붓통, 대나무 의자, 매화 감실(龕室), 종려나무 지팡이, 화초를 아로새긴 벼루, 삼인도(三寅刀), 녹각 베개, 고래수염으로 만든 젓가락1), 비백(飛白)의 서체로 쓴 족자, 산수화를 그린 병풍 등 마음을 즐겁게 하고 낯빛을 기쁘게 하는 물건들이 어느 하나 선친께서 어버이를 모시던 도구가 아닌 것이 없었다오. 시종 가지고 다니며 어버이를 모시기 위한 용도로 써서 정성을 다해 봉양하고 극진히 섬긴 어버이에 대한 효심을 지금까지도 아련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말한다면, 이 두 화로에서 그중 많이 볼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
우리 형제가 이제 어버이를 잃어 외로운 처지가 된 후 이 화로를 마주하노라면 문득 눈물이 줄줄 흐른다오. 어찌 차마 천시하여 없애버림으로써 정이 깃든 물건을 영원히 인멸시킬 수 있겠소? 저 범씨(范氏)의 묵장(墨帳)이나 한씨(韓氏)의 낡은 궤안, 왕씨(王氏)의 청전(靑氈)2) 등이 모두 깃든 바가 있지요. 이 때문에 자손들이 보호하여 가지고 있으면서 바꾸지 않았던 것이오. 어버이의 정이 깃든 것을 보배로 여긴다면 어찌 물건의 귀천을 따지겠소? 흙 또한 금이나 옥과 가치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것이라오. 당신은 화로를 흙으로 만들었다고 하여 귀하게 여기려 들지 않으니, 당신 말대로라면 오직 산예로(狻猊爐)나 박산로(博山爐)3) 같은 세상에서 보배라 일컬어지는 화로라야 비로소 귀하게 여겨 대대로 전하겠소? 어찌 비루한 생각이 아니겠소?”
그 사람이 내 말을 듣고 옷깃을 여미고 일어나 말하였다.
“그러하군요. 그대들 형제가 이 화로를 아끼는 것은 당연합니다. 나는 이제 이를 비로소 알았습니다. 그대들 형제나 자손뿐만 아니라 그대 집을 지나는 모든 사람들이 이 화로가 얼마나 사랑스러운지를 알게 되면 효심이 샘솟듯 솟아나지 않겠습니까?”
그 사람이 나가고 나서 이를 설로 지었다.
1) 고래의 입 근처에 나 있는 수염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하여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들었다고 한다. 2) 범중엄(范仲淹)은 검은 휘장을 사용하였는데, 며느리가 시집오면서 비단 휘장을 가져오자 이를 꾸짖고 불태웠다는 고사가 있다. 진(晉) 한백(韓伯)의 모친은 늘 오래된 궤안에 기대었는데 궤안이 낡아 외손자가 바꾸려 할 때 이를 말렸다는 고사가 있다. 진(晉) 왕헌지(王獻之)는 도둑이 들자 푸른 담요(靑氈)는 대대로 전해온 물건이므로 그것만 빼고 가라고 한 고사가 있다. 3) 산예로는 도자기로 만든 사자 모양의 향로. 박산로는 박산이라는 바다 속의 산 형상을 본떠서 만든 연꽃 모양의 향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