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인간을 만들 때 욕망을 부여하였다. 그러기에 예의로 마음을 제어하지 못하거나 의로움으로 일을 제어하지 못할 때에는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는 자가 드물다. 이것이 바로 먼 옛날 성현들이 반드시 인간적 욕망을 막고 하늘이 부여한 이치를 발휘하여 사람들이 짐승에 가까워지지 않도록 가르치신 까닭이다.
이른바 욕망이란 것에는 종류가 많다. 그 가운데 음식이나 남녀관계는 인간의 크나큰 욕망이 표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식욕과 정욕이 생긴다. 자신의 몸을 봉양하고 그 마음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재물이 필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재물욕이 생긴다. 가난하고 천한 신세가 부유하고 귀한 존재로 탈바꿈하고자 할진댄 반드시 과거시험을 거쳐 벼슬아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거에 급제하고자 하는 욕망과 벼슬하고자 하는 욕망이 생긴다. 이것은 모두 다 인간적 욕망으로서 없을 수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간혹 소탈한 것을 좋아하고 담박한 생활을 즐기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모두 그 욕망을 심하게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른바 재미있는 구경거리를 즐기려는 욕망이란 것은 다른 온갖 욕망의 우두머리이다. 구경거리라 함은 좋은 물건, 좋은 풍경 등으로, 무릇 모든 일상적인 것과 다르기에 구경할 만하고 즐길 만한 모든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어린아이에게도 어른이 손가락으로 물건을 가리키며, “저 물건이 좋아!”라고 말하면 울다가도 울음을 그치고 화를 내다가도 화를 푼다. 그 아이가 어른이 되어 멋진 풍경을 만나면 그 풍경을 즐기느라 집에 갈 것도 잊고, 특이한 볼거리가 있다는 소문을 들으면 아무리 멀더라도 가기를 꺼리지 않는다. 나이 들어 점잖아져도 달라지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어른과 아이, 남자와 여자를 가릴 것 없이 봄철이 되어 꽃이 피고 버들가지가 늘어지면 놀러 나가려 하고, 가을철이 되어 단풍 들고 국화꽃 피면 구경하러 나선다. 대보름 달 뜨는 풍경, 사월초파일의 연등행렬, 큰물이 져서 강물이 불어난 모습, 여름철의 짙은 숲 그늘 등 이런저런 풍경마다 곳곳에 미친 듯 구경꾼이 몰려든다. 물고기 잡고 사냥하는 장면을 보면 좋아하고, 기예를 자랑하는 장면을 목격하면 미소를 띤다. 길거리에서 다투거나 희롱하는 장면을 보면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걸음을 멈춰야 하고, 수레와 하인들을 거창하게 몰고 가는 대갓집 행차를 보면 아무리 큰 일이 있어도 반드시 눈길을 주어야 한다. 특이한 물건이 있다고 하면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반드시 좇아가 보아야 하고, 기이한 사건이 발생하면 아무리 외진 곳이라도 반드시 뒤따라가 구경해야 한다. 눈이 달려있는 사람으로서 구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머리를 수그린 채 그냥 지나가는 법이 없다.
이렇듯 많은 볼거리에 대한 욕망 중에서도 가장 심한 것은 임금님이 거둥할 때이다. 이때는 서울이며 지방의 양반과 서민들이 남에게 뒤질세라 다투어 모여들어 산과 들판을 뒤덮는다. 길옆에 있는 집은 모두들 사대부 집안 부녀자들이 차지한다. 이런 때는 먼저 들어가는 자가 임자이고 뒤에 오는 자는 밀려나기 때문에 백성들 행렬을 뚫고서 가마가 달려가고, 소란스럽고 먼지 자욱한 거리를 계집종이 달려간다. 창문으로 내려다보고 창호지 구멍으로 훔쳐본다. 그러다보니 밖으로 드러난 얼굴을 길가의 사람들이 곁눈질로 쳐다봐도 상관치 않고, 품위를 잃었다고 노비들이 손가락질해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염치와 위신이 걸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내팽개친다. 심지어는 길에서 해산하는 사람도 생기고, 다락에서 헛디뎌 떨어지는 사람까지 생기는 등 부끄럽고 우스꽝스러운 사건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고도 구경하는 것이라곤 펄럭이는 깃발과 무리지어 달리는 군사와 말을 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