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혜당서실 묵향일기

唐詩: 登鸛雀樓 (등관작루) - 王之渙(왕지환)

by 혜당이민지 2023. 4. 15.

登鸛雀樓(등관작루) / 王之渙(왕지환)

白日依山盡(백일의산진)
黃河入海流(황하입해류)
欲窮千里目(욕궁천리목)
更上一層樓(갱상일층루)

"밝은 해는 산 너머로 지고
황하는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눈 들어 천 리를 바라보려
다시 누각을 한 층 더 올라가네"

<원문출처> 登鸛雀樓 / 作者:王之渙 唐
本作品收錄於: (全唐詩/ 卷253) 和 (千家詩/卷一 )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唐詩 , 登鸛雀樓(등관작루)를 담고 계신 멋진 제자님^^
지난주에 이어 두번째 작업 (230415) ~일취월장~


[通釋] 먼 산 가까이에서 해는 저물어 석양이 빛나고, 일렁이는 황하는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저 멀리에 있는 광활하고 아름다운 경치를 바라보려 누각을 한 층 더 올라간다.

[解題] 이 시는 높은 곳에 올라 먼 곳의 경치를 조망하는 시로서, 시인이 지금의 산서성에 위치한 관작루에 올라 쓴 작품이다. 시에서 앞의 두 구절은 일종의 투사법(投射法)을 사용하여, 마치 읽는 이가 시인과 함께 누각에 올라 낙조(落照)와 황하의 경치를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갖도록 한다. 시어를 운용한 것이 소박하지만 관작루 주변의 광활한 산하(山河)를 매우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흉금(胸襟)이 트인다. 뒤의 두 구절은 앞 구절을 이어받는 것이 자연스럽고도 긴밀하다. 누각의 2층에서 조망한 경치가 앞의 두 구에서 드러났다면, 뒤의 두 구절은 시인이 누각의 맨 위층으로 올라가 2층보다 더 광활하고 요원한 경치를 감상하는 과정이 절로 드러난다.

이 시에서 드러나는 독특한 점은, 시 전편이 대구(對句)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대구(對句)를 함에 있어, 기세가 충실하지 않고 의미가 하나로 통하지 않으면 그 대장(對仗)은 그저 조탁(彫琢)에 치중한 것으로 치부되기 쉬우나,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병폐가 보이지 않아 기교가 원숙하다는 평을 듣는다.

※王之渙(왕지환) :
695~742. 자(字)는 계릉(季陵)으로 병주(幷州: 지금의 山西省 太原市) 사람이다. 고적(高適)‧잠삼(岑參)‧왕창령(王昌齡)과 시명(詩名)이 나란하였으며 작품의 풍격(風格) 또한 그들과 비슷하다. 시의 내용은 대부분 변새(邊塞)나 전쟁 등을 소재로 한 것으로, 표현방식이 열정적이고 진취적이라 평해진다. 공명(功名)을 구하지 않아 평생 과거에 응한 적이 없으나, 문학적 성과는 뛰어나 〈涼州詞(양주사) 〈登鸛雀樓(등관작루)〉 같은 작품은 천고의 절창으로 칭해진다.
아쉽게도 남겨진 작품 대부분이 망실되었다.《唐才子傳(당재자전)》에 소전(小傳)이 있다.

•白日(백일) :
구름이 끼지 않아 밝게 빛나는 해.
•窮(궁) : 다하다, 즉 진(盡)의 의미

•본 자료의 번역은
전통문화연구회의 동양고전종합
DB(http://db.juntong.or.kr)에서 인용 된 내용

"참고>  중국 고대 사대명루(四大名樓)는 산서의 관작루(鸛雀樓), 강서의 등왕각(藤王閣), 호북의 황학루(黃鶴樓), 호남의 악양루(岳陽樓)이다. 이 사대누각은 왕지환의 ‘등관작루’(登鸛雀樓), 왕발의 ‘등왕각서’(藤王閣書), 최호의 ‘황학루’(黃鶴樓), 범중엄의 ‘악양루기’(岳陽樓記)와 두보의 ‘등악양루’(登岳陽樓)라는 시와 문장이 나오자 이로 인하여 그들의 성가가 더욱 높아졌다고 한다"

• 스크랩 출처:
[당시삼백수]登鸛雀樓(등관작루:관작루에 올라) - 王之渙(왕지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indol3470

'혜당서실 묵향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앞에 놓인 순간순간...  (0) 2023.04.27
사월... 묵향 속 시간 여행  (0) 2023.04.20
삼월의 묵향~  (0) 2023.03.30
2023 계묘년• 입춘축  (0) 2023.02.04
2023 癸卯年 새해 연하장 (2)  (0) 2023.01.19